윤공주_To_the_Rhythm_#1,_비단에_석채_분채,_68x87.5cm,_2022_.jpg



KOGNJU YUN

b. 1976

Based in KOREA

스크린샷_2025-06-24_오후_7.55_.52_.png

그림을 그리는 동안 그 속에 빠져 엉켜있는 현실의 생각과, 엉뚱한 상상을 하며 감정을 정리하고 무언가를 해소 했던 것 같다. 한때 어린이 그림책을 그리며 행복함을 느꼈지만, 점점 나의 내면의 구멍이 커지면서 채워지지 않는 공허함에 무력감을 느꼈다. 나 자신의 저 깊숙한 내면을 들여다 보기 시작하며 나를 살아있게 만드는 건 그림이었기에 처음부터 다시 그리기 시작했다. 그 과정은 매우 더디고 고단했지만 단단한 홀로서기로 그림 안에서 자유를 찾아가고 있다.

관념적인 느낌을 시각화 하여 그대로 인 듯 아닌 듯 또 그것이 무언가로 확장되어 표현 하려한다. 구체화된 것에서 해체시켜 다른 모습으로 중첩되고 그로 인해 이중적인 모습과 양가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게 변주하고자 한다. 

세상에 멈춰있는 것은 없다. 시간의 흐름 속에 늘 변화되고 달라진다. 생각은 시간 속에 흐르지 않고 순간 이동하며 자유롭게 어디든 존재한다. 그림을 통해 멈춰있는 것이 아닌 어디든 존재의 흔적을 찾아가길 바란다.


[기법]
동양의 전통 채색 기법인 ‘진채’(眞彩)화로 비단에 분채를 쓰며, 집의 지붕에는 천연 석채를 쓰고 있다.
석채는 광물 안료로 입도에 따라 안료의 입자가 다르기에 평면의 그림 안에 입체감이 생겨나 섬세한 느낌을 준다. 천연 안료는 자연의 색을 그대로 가져와 편안하고 따뜻하다.

[작품구성 및 연출방식]
《Hi, home : To the Rhythm~》 :
양자물리학은 미시적인 세계를 말한다. 미시적인 세계의 어떠한 영향이 거시적인 세계에 영향을 준다.
모든 것이 다 원자로 이루어져 있기에 우리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있고 영향을 주고받으며 진동(파동, 에너지)하고 있다. 집들은 진동(에너지)하며 춤(율동)을 추고, 어우러지며 빛을 흡수하고 반사한다. 자기만의 고유한 리듬은 이상적인 삶이자 자기 완성으로 집들의 움직임 즉, 율동과 색(色)으로 표현 하였다. 집은 작게는 한명의 개인 이기도 하고 가족이 되기도 하며, 나아가 사회를 이루고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이다. 행복을 주는 리듬!! 리듬을 타고 행복이 공명(共鳴)되길 원한다. 인간은 외롭지만 외롭지 않다. 혼자이지만 혼자가 아니다.

《Hi, home : Space of Life_삶의 공간》 :
조각보를 모티브로 집을 구성하였다. 하나의 조각은 개인이 되기도 하지만 가정, 사회, 국가가 되기도 하고 더 나아가 우리는 모두 우주인으로 하나의 별이 된다. 삶에서 중요한 건 소통이라고 생각한다. 소통은 나이가 먹으면서(시간이 지나면) 쉬워지는 줄 알았는데 점점 더 어렵고, 회피하고 싶고, 심지어 도망가고 싶을 정도로 어려운 것 같다. 타인과의 소통도 중요하지만 나 자신과의 소통이 매우 중요 하다는 것을 깨달았으며, 그 의미로 커다란 창과 문을 뚫었다. 살면서 어떤 문을 열고 나가기가 참으로 어렵고, 별거 아닌 저 문을 열고 나가기위해선 나름의 용기가 필요하다. 문을 열고 나갔을 때 무지개 빛 희망을 원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 하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듯 작은 용기라도 내어 보길 바라는 마음이다.

《그림속 종이배》 :
나 자신 즉, 자아(自我)를 나타낸다. 우리는 무한한 시간 속에 유한한 삶을 살아가기에 그때그때 나의 모습은 다 다르며, 현재의 나도 누구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하고있다. 인간은 사회변화에 적응하며 도태되지 않기 위해 많은 가면을 쓴 체, 끝없는 불안을 안고 삶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있는 그대로의 나 자신을 받아들이며 현실의 자아와 안식처가 있는 이상세계를 갈구하는 자아의 양가적인 감정이 중첩되어 있다.


이 시대의 ‘집’ 은 ‘House’만 있는 것 같다. 난 ‘home’으로 집을 바라보며 그 안에서 삶을 살아가고 있는 개인과 가족, 더 나아가 우리 사회를 이루고 있는 관계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나는 일명 ‘집순이’ 이다. 하루 종일 ‘집’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나에게 집이란 ‘안식처’ 이자 끝없는 에너지의 보고이며 가장 안전한 곳이다. 치열하게 삶을 살다 벼랑 끝에 서게 되면 결국 돌아갈 곳은 ‘집’ 이다.
집에 돌아온 어느 날, 그 속엔 또 다른 굴레가 있었다. 끝없는 방황과 외로움이 같이 공존하였다. 감옥이 되어버린 집에서 나는 살기 위해 탈출구를 찾아 헤맸으며 그 탈출구는 결국 나 자신을 찾고, 관계 맺음과 소통의 어려움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며 서서히 숨을 쉴 수 있게 되었다. 삶이 고스란히 녹아있는 집이 나에겐 무한한 ‘영감(靈感)’이 되어 그림을 그리며 방황하다 흔들림을 멈추기 위해 또다시 그림을 그리고 있는 삶을 성찰해본다. 나는 별처럼 수없이 많은 집을 그리고 또 그린다.

그림에서 ‘집’ 은 물리적인 집이 아닌 안식처(home)로 상징 되어 이상화 되어있는 세계를 표현 하였다. 비현실 속에 존재하지만 현실의 나를 살아 숨 쉬게 하고, 어쩌면 현실 속에 존재하여 이 비현실적인 세상을 살아가게 한다. 비현실이 곧 현실인 듯, 집은 내 심상의 이상화된 공간으로 탈출 여행을 하며 이 세계의 안식처 이자 나 자신으로 존재한다. 집들은 모두 자기만의 리듬(에너지)을 갖고 상생하며, 생동하는 에너지를 보여준다. 서로 화합하고(뭉치고) 또한, 독립되어 뻗어 나아간다. 집은 작게는 한명의 개인 이기도 하고 가족이 되기도 하며, 나아가 사회를 이루고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이다.
리듬을 통해 관계 맺음과 소통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긍정의 에너지를 주고받으며 행복을 공명한다. 각각의 집들은 하나의 공간으로 독립적이면서 또,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개인의 안식처가 되는 집이 되기도 하지만 무한한 공간으로 확장되어 우주의 별이 된다. 잃어버린 자신만의 안식처가 되는 집을 찾아 위안을 얻기 바란다.
It seems that while I was drawing, I organized my emotions and resolved things by thinking about reality and wild imagination that were entangled in it. At one time, I felt happy while drawing children's picture books, but as my inner hole grew bigger, I felt helpless about the unfilled void. As I began to look deep inside myself, it was painting that made me alive, so I started drawing again from the beginning. The process was very slow and difficult, but I am finding freedom in the painting as a solid solo. 

By visualizing the ideological feeling, it tries to express it by expanding it into something as if it is not as it is. It is intended to be dismantled from the concrete and superimposed into a different appearance, thereby transforming it into a double appearance and ambivalent emotion.

Nothing is stopped in the world. It always changes and changes in the passage of time. Thoughts do not flow in time, they teleport, and they exist anywhere freely. I hope you find traces of existence anywhere that is not stopped through painting.


[ work technique ]
Bunchae is used in silk with '眞彩' (jinchae), a traditional oriental coloring technique, and natural stone is used on the roof of the house. As the particles of the pigment differ depending on the particle size, a three-dimensional effect is created in the picture of the plane and gives a delicate feeling. Natural pigments bring natural colors as they are, so they are comfortable and warm.

[ The composition and directing method of the work ]
《Hi, home : To the Rhythm~》 :
Quantum physics refers to the microscopic world. Any influence of the microscopic world affects the macroscopic world. Since everything is made up of atoms, we have a close relationship, influence, and vibrate (wave, energy). Homes vibrate (energy), dance (motion), blend, and absorb and reflect light. One's own rhythm is an ideal life and self-completion, which is the movement of
homes, that is, rhythm and color (色). A home can be a single individual or a family, and furthermore, it is our image of forming a society and living. Rhythm that gives happiness!! I want happiness to resonate (共鳴) with the rhythm. Humans are lonely, but not lonely. I'm alone, but I'm not alone.

《Hi, home : Space of Life》 :
The home was constructed with the motif of the sculpture beam. A sculpture can be an individual, but it can also be a home, a society, and a country, and furthermore, we all become one star. I think communication is important in life. I thought communication became easier as I got older (over time), but it seems to be increasingly difficult, to avoid, and even to the point where I want to run away. Communication with others is important, but I realized that communication with myself was very important, and I drilled a large window and door in that sense. It is very difficult to open a door in life, and to open that door, which is nothing much, you need your own courage. When you open the door, you want a rainbow of hope, but there are more cases where you don't. However, I want to have a little courage to see as if nothing happens if nothing is done.

《 a paper boat in the painting 》 :
I represent myself, or 我. Since we live a finite life in an infinite time, my appearance is different at that time, and I am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who and where I am now. Humans adapt to social changes and wear many masks not to be culled, and cannot escape from the bond of life with endless anxiety. The ambivalent feelings of the self who accepts myself as I am and longs for the real self and the ideal world where there is a haven overlap.

It seems that the only 'house' in this era exists. I looked at the house through 'home' and though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s and families living in it, and furthermore, our society.
For me, who spends a lot of time at home all day, home is a 'rest' and a treasure trove of endless energy, and the safest place. After living a fierce life, the place to go back to is 'home'.
One day when I returned home, there was another bond in it. Endless wandering and loneliness coexisted together. In a house that became a prison, I searched for a way out to live, and the way out eventually I found myself, recognized and accepted the difficulties of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as it is, and I was able to breathe slowly. The house where life is melted becomes an infinite "inspiration" to me, and I reflect on the life of painting again to stop the shaking after wandering. I draw and draw countless homes like stars.

In the painting, 'home' is symbolized as a home rather than a physical house, expressing an idealized world. It exists in unreal, but it makes me live and breathe in reality, and maybe it exists in reality to live in this unrealistic world. As if reality is a reality, home exists as a haven and myself in this world, making an escape trip to the idealized space of my image. All houses have their own rhythms (energy), coexist, and show lively energy. They harmonize with each other (gather up) and grow independently. A house can be a small individual or a family, and furthermore, it is our image of forming a society and living.
Through rhythm, they overcome difficulties in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exchange positive energy, and resonate with happiness. Each house is independent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s a space. It becomes a house that serves as a personal haven, but it expands into an infinite space and becomes a star of the universe. Find a house that serves as your lost sanctuary and gain comf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