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성_결정적인_순간_116.8x91cm_oil_on_canvas_2021_.jpg


MISUNG KIM

Based in KOREA



스크린샷_2025-06-24_오후_7.55_.52_.png


김미성 작업노트

존재한적이 없는 기억의 패스티시, 그리고 존재를 향한 픽션의 회화

1. 예술관: 예술의 역할은 무엇인가?
나에게 예술이란 존재를 증언하는 것이다. '사실'을 전달하거나 '이야기'를 꾸미기 위한 것이 아니라, 누구도 설명할 수 없었던 감정의 층위, 그 조용한 실루엣들을 잠시 드러내는 것이라 생각한다. 나는 기억을 회상하지 않는다. 대신 그 감각이 ‘나를 찾아올 때까지’ 기다린다. 그 기다림은 내가 살아가는 방식과도 닮아 있다. 예술은 바로 그런 기다림의 장치이자, 말하지 못한 내면의 시간을 조명하는 조용한 빛이다.

2. 역사적 전통: 예술관이 구현된 역사적 전통과 작업의 기원
내 작업은 고전적 유화 기법 위에 구축되지만, 그 기저에는 마르셀 프루스트의 감각적 기억, 밀란 쿤데라의 "불멸"속 아네스의 '우연한 몸짓'처럼 존재의 흔적을 파고드는 문학적 전통이 흐르고 있다. 또한 나는 회화 안에 픽션을 도입함으로써, 데이비드 호크니의 무대적 구성, 정적 속 인물화를 사유한다. 그러나 내가 가장 의지하는 전통은, 존재와 기억 사이의 틈에서 무언가를 ‘붙잡으려는’ 몸짓이다. 이 몸짓은 언어 화 되기 이전의 감각, 사라져버린 장면의 잔존을 지각하려는 시도에 가깝다. 나에게 중요한 것은 서사화 된 기억이 아니라 그것의 파편적 질감이다. 마그리트나 마크 라이덴이 구축한 기묘한 세계에서 나는 기괴함과 잔혹함을 걷어내고, 정적이고 응시 적인 장면처럼, ‘말이 사라진 공간’ 속의 사물들과 인물들에 주목한다. 그 안에서 나는 ‘존재했을 법한 순간’의 감정과 빛을, 인형처럼 고요한 몸짓 위에 조심스럽게 올려두려 한다.
나의 작업은 어떤 극적인 개인 서사나 고백으로부터 출발하지 않는다. 오히려 나는 제한된 조건 안에서 가능한 방식들을 실험하고 반복하며, 거기서 피어나는 감각의 층위를 기록해왔다.
아이를 돌보는 몇 시간 사이, 집 안의 가장 작고 조용한 구석에서 나는 낡은 트렁크 하나와, 인형 하나로 내 시선을 응고시켰다. 이건 삶의 구조가 만들어준 조건이며 동시에 나의 선택이었다. 나는 말없는 장면들, 너무 사소해서 지나치기 쉬운 감정의 결을 고전적유화기법과 상상의 픽션을 통해 회화로 응축해낸다. 그렇기에 내 작업은 ‘사적인 고백’이 아니라, 주어진 삶 속에서 감각을 되살리려는 감응의 흔적이다.

3. 작업 의도: 전통을 보완하고자 하는 내용
나는 이미 존재했던 기억이나 상징을 단순히 소환하거나 차용하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의 감각에 침투할 수 있는 가능성 으로서의 장면을 구축하고자 한다. 내 회화는 픽션이다. 그러나 그것은 감정을 조작하는 픽션이 아니라, 오히려 '익숙함 속 낯섦'을 통해 감각의 문을 여는 정교한 구조다.
나는 장난감, 트렁크, 오래된 가구, 봉제 인형 등 누군가의 기억을 품고 있을 법한 사물들을 선택하고, 그것들을 섬세하게 배열한다. 그렇게 탄생한 장면은 과거의 재현이 아니라, 그 자체로 존재하는 감각의 환경이 된다.

내 작업의 형식은 이렇게 설명할 수 있다.
"환상적인데 믿을 수 있는 정적 서사"
“낯설지만 무섭지 않고, 동화처럼 수용되는 감각”
“허구인데 실존하는 감정처럼 느껴지는 세계”

4. 표현 방법: 자신의 의도를 표현할 양식적 아이디어
나는 고전 회화의 빛과 재료감을 현대적 픽션과 결합한다. 유화는 물성과 시간의 흔적을 함께 담을 수 있는 매체다. 그 안에 들어 있는 사물들, 인형 같은 소녀들, 연출된 포즈는 모두 조형적 장치인 동시에
기억의 매개 장치다. 특히 나는 ‘세타빌 레드’라 부르는 심리적 조명 효과를 회화 속 장면에 주입한다.
그 색은 실제 존재하지 않지만, 감정의 온도와 조도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이미지 전체를 감싸고, 감상자의 감각을 조정한다. 이러한 방식은 ‘정지된 픽션’이라는 나만의 회화 어법으로 발전해 왔다.

5. 기대효과: 자신의 작품이 미칠 미학적 효과나는 내가 기억한 것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기억할 수 있을지도 모르는 장면을 그리고자 한다. 즉, 존재한적이 없는 기억의 패스티시를 구현하고 있다.
이 회화는 정지된 한 순간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는 수많은 시간과 서사가 접혀 있다. 관람자는 그 안에서 자신만의 기억의 조각을 발견하거나, 전혀 다른 감각의 문이 열릴수도 있다.
나는 작업을 통해 감정의 시간을 시각화하고, 한때 존재했을 지 모르는 장소, 혹은 아직 오지 않은 기억의 가능성을 만들어내고 싶다.
그것이 ‘존재하지 않지만, 누구나의 기억 속에 있는 장면’을 만드는 이유이며, 나의 존재가 회화라는 방식으로 세상에 흔적을 남기는 방식이다
Miseong Kim – Artist Statement

Pastiche of Memories That Never Existed, and the Painting of Fiction Toward Existence

1. Philosophy of Art: What is the role of art?
For me, art is a testimony of existence. It is not meant to deliver “facts” or fabricate “stories,” but to reveal, even for a moment, the quiet silhouettes of emotions that no one has ever been able to explain. I do not recall memories; instead, I wait until the sensation finds its way back to me. That waiting resembles the way I live. Art, for me, is precisely such a device of waiting—a quiet light that illuminates the unspoken hours of the inner self.

2. Historical Tradition: The origins and traditions that shape my work
My work is built upon the foundation of classical oil painting techniques, yet beneath it flows a literary current—the sensory memory of Marcel Proust, or the “accidental gesture” of Agnes in Milan Kundera’s Immortality, delving into traces of being. By introducing fiction into painting, I reflect on David Hockney’s theatrical compositions and the stillness of figurative portraiture. However, the tradition I most rely on is the gesture that seeks to “grasp” something between existence and memory—a movement closer to perceiving the remnants of vanished scenes than to verbalizing them.What matters to me is not the narrative of memory, but its fragmented texture.In the strange worlds constructed by Magritte or Mark Ryden, I remove cruelty and grotesqueness, instead focusing on objects and figures that inhabit “spaces where words have disappeared”—still and contemplative scenes. Within them, I carefully place the emotions and light of “moments that might have existed,” upon the quiet gestures of doll-like beings.
My work does not begin with dramatic personal narratives or confessions. Rather, I experiment and repeat within limited conditions, recording the layers of sensation that emerge there. Between hours of caring for my child, in the smallest, quietest corner of my home, I would fix my gaze upon an old trunk or a single doll. This was both a condition shaped by life and a conscious choice. Through classical oil techniques and the imagination of fiction, I condense silent scenes and delicate emotions—too trivial to be noticed—into painting. Thus, my work is not a “personal confession,” but a trace of emotional resonance—a gesture to awaken sensitivity within the given structure of life.

3. Artistic Intention: Expanding and complementing tradition 
I do not simply recall or borrow memories and symbols that already exist.Instead, I construct scenes as possibilities—moments that may infiltrate someone’s sensibility. My paintings are fictions, but not those that manipulate emotion. They are intricate structures that open the door of perception through “the unfamiliar within the familiar.”
I select and arrange objects—such as toys, trunks, vintage furniture, or dolls—that seem to carry someone’s memories. The resulting scene is not a representation of the past, but an environment of sensations that exists in itself.
The format of my painting can be described as:
  • A static narrative that is fantastic yet believable
  • A strangeness that is not frightening, but tenderly absorbed like a fairy tale
  • A fiction that feels as real as emotion itself
4. Method of Expression: Formal and stylistic approach
I merge the light and materiality of classical painting with contemporary fiction. Oil painting, as a medium, contains both the physicality and the trace of time. The objects within—dolls, girls, and staged poses—serve simultaneously as compositional devices and as mediators of memory.
I particularly infuse my scenes with a psychological lighting effect I call “Setabile Red.”This color does not exist in reality, yet it envelops the entire image, setting the emotional temperature and luminosity while subtly modulating the viewer’s perception. Through this approach, my painting has evolved into a unique visual language—a “fiction in stillness.”

5. Expected Aesthetic Effect
I do not paint what I remember; I paint what might be remembered. n other words, I embody a pastiche of memories that never existed. Although my paintings appear as still moments, they contain countless folds of time and narrative. Viewers may discover fragments of their own memories within them—or perhaps open a door to entirely new sensations.
Through my work, I aim to visualize the time of emotion and to create possibilities—of places that might once have existed, or memories that have yet to come. That is why I paint “scenes that do not exist, yet live within everyone’s memory.”It is my way of leaving a trace of existence in the world—through the language of pain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