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lower2_류수_.jpg


RYUSU

Based in KOREA




스크린샷_2025-06-24_오후_7.55_.52_.png


작가노트

오래되고 우거진 숲이 있었다

나무와 물을 즐겨 그렸다

색유리와 빛에 대한 감동과 열정

그리고 사색의 시간들

사랑스런 꽃을 만났다

사라져가는 낙엽을 만났다


생성과 소멸 그 사이에서


  나의 평면작업은 과거의 경험에서 추출한 이미지를 조화롭게 믹싱하고 그것을 다시 꽃처럼 대칭으로 펼쳐 보이는 형식을 취한다. 그리고 거기에 나름의 생각과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시간이 경과하고 작업이 진행되면서 그림은 진화를 거듭하게 될 것이다. 그것은 개인적일 수도 있고 우리의 이야기일 수도 있다. 그리고 과거, 현재 또는 미래일 수도 있다.
  평면작업은 나의 내면의 세계를 시각화하는 방식의 하나이다.
  작품의 분위기는 감동과 압도를 추구한다. 일차적으로 보는이로 하여금 시각적인 감동을 선사하고 싶다. 그러기위해서 시각언어의 고도화를 추구한다. 그것은 탐험과 같은 호기심과 즐거움을 수반한다. 화면 안에서는 물리적 한계를 초월할 수 있는 자유가 주어진다. 그것을 마음 것 누리는 것이야 말로 회화작가만의 특별한 권리일 것이다.
 
  어린 시절 아름다운 풍토가 있는 고향에서 농지와 자연을 가까이서 보고 느낄 수 있었다. 그곳에는 577년에 지어진 사찰과 1453년에 축성된 성곽이 있었다. 그 두 곳은 유년기에서부터 고향을 떠날 때까지 내게 많은 것을 제공하였다. 그곳의 한옥 건축물과 숲속에서 많은 놀이와 모험을 즐겼다. 또한 그곳은 풍경화를 그리기 좋은 장소이기도 하였는데, 수채화를 연습하기에 좋은 다양한 소재들이 있었다. 이를테면 오래된 나무와 시냇물, 성곽의 돌들, 단청이 칠해진 한옥건축물, 건축을 이루는 나무 기둥과 들보의 형태나 기와의 구조는 세월의 흔적과 그윽한 멋을 지니고 있었다.

   내 생을 관통하는 뚜렷한 횡적을 찾아본다면 그것은 스테인드글라스이다. 나는 30대부터 줄 곳 스테인드글라스와 빛을 가지고 나만의 예술세계를 열어보겠다는 나름의 포부를 가지고 고군분투 해왔다.
  스테인드글라스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색유리를 만지고 빛에 비추어 보고 재단하고 흐트러트리고 다시 정리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 같은 과정에서 색유리 조각들이 빛과 작용하여 시시각각 보여주는 다채로운 모습은 마치 신성한 대상의 초월적인 현상을 목격하고 그 신비에 빠져드는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겠다. 스테인드글라스 작품을 완성시켜 건축물에 설치가 끝나면 하늘을 등진 스테인드글라스 작품이 태양으로부터 쏟아지는 빛을 오로지 자신을 통해서만 건축물 내부로 드려 보내게 된다. 이때 건물 내부는 그것이 제조한 색 빛 형상들이 드리우는 기운들에 의해 지배당하게 된다.
  그러하기에 스테인드글라스의 완성은 빛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는 몇 가지 비밀이 숨겨져 있는데 나는 그것을 명확히 인지하고 능히 다룰 수 있게 되기까지 많은 시간을 들여 경험해야 했고 그것을 바탕으로 한 탐구와 실험의 반복이 필요하였다.

  내가 다시 회화 작업으로 돌아오게 된 것은 어느 봄날 신비롭고 매력적인 꽃과의 만남에서 비롯되었다.
  꽃이 가지고 있는 색과 형태 그리고 숙명은 많은 것을 생각하고 깨닫게 한다. 꽃은 식물에게 있어서 가장 아름다운 한때이다. 짝과의 만남을 위해 그토록 사랑스러운 빛깔과 모습을 뽐내며 몸짓한다. 사랑이 이루어지면 곧이어 꽃잎은 떨어지고 씨앗을 가진 열매가 만들어진다. 그렇게 가장 아름다운 시기는 아주 짧게 끝을 맺고 새 생명을 잉태하는 것이다. 씨앗은 모체로부터 분리되어 땅에 자리 잡는 순간부터 쉬지 않고 성장이라는 운동을 시작한다. 그렇게 또 하나의 개체가 된다.
  우주의 모든 것은 정해진 시간과 운명을 가지고 있다. 태어나 성장하고 노쇠하여 소멸한다. 이것을 좀 더 자세히 바라보고 단순화 시키면 이 세상은 집합과 운동, 분산 이 세 가지 원리가 반복 작용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난 이 세 가지 요소만이 불변의 진리이며 우주 안의 모든 것을 포함하는 ‘대전제’라고 믿는다.

  꽃이 아름다운 것은 곡선과 색의 반복되는 형태 즉 대칭에 의해 가능하다. 대칭의 형태는 우주 안의 모든 사물, 모든 개체가 가지고 있는 기본 형태이다. 그것은 존재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인 형태이기도 하다. 또한 대칭은 미美와 안정감을 제공하며 의미 있는 것으로 인식되도록 한다. 그것은 우리가 자연계에서 보이는 대칭 형태에 무의식적으로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다. 나는 오랜 시간 스테인드글라스와 빛에 관한 연구를 하면서 대칭의 형태가 지닌 가능성과 신비에 더욱 깊이 빠져들었다.
  스테인드글라스의 역사를 살펴보면 중세 유럽의 대칭 문양들이 거대하면서도 조화로운 형태로 장엄한 감동을 선사한다. 나는 그것에 대해 관찰하면서 우리나라의 단청과 유사함을 알게 되었다. 그로인하여 내 어린 시절부터 고향에서 흔히 보아왔던 단청문양들을 다시금 새롭게 인식할 수 있었다. 내가 다시 평면작업을 시작하게 되었을 때 나는 바로 그 지점에서 나의 회화의 정체성을 찾아가기로 마음먹었다.  

  내 그림의 가장 큰 특징은 첫째 색유리와 빛의 경험을 물감과 붓을 통해 녹여낸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있었던 추억, 인물, 사건, 철학, 종교 등 나와 관련 있는 세상의 모든 것을 소재로 시각화하는 작업 될 것이다. 작품을 하는 것은 나에게 있어서 여행, 또는 실험과도 같다. 작품은 그 과정의 결정체이며 기록이다.

  회화작업 방식으로는 지난 시절 스테인드글라스 작업에서 겪었던 감동과 충만했던 경험들을 모두 표현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내면 깊이 체화된 그것들을 통해 다른 세계를 열어보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다. 붓과 물감이 줄 수 있는 더 많은 표현의 자유를 통해 다시 다른 차원으로 여행을 시작하였다. 그 과정에서 남겨진 증거들(작품)이 나를 대신하여 이야기할 것이다. 그 것들이 사람들에게 읽히고 이해된다면 나의 이 고독한 여정은 좀 더 의미 있는 것이 될 것이다.  







류  수  

강남대학교 미술학 학사 졸업

전시경력
개인전
2025년 트인 갤러리 ‘Full Bloom’
2013년 광명시중앙도서관 ‘유리화의 새로움을 찾아’

그룹전
2024년 CICA미술관 ‘추상미술국제전’
2016년 뉴욕 K&P ‘HANGUEL, ABOUT ITS BEAUTY’
2012년 파리 L’orme ‘CROISEMENTS’
2012년 파리 Galerie Iconoclastes ‘KOREA ARTWORK I’
2009년 다카사키시립미술관 ‘SIAF 2009'

 
수상경력  
2002년 전국대학미술대전 특선
2003년 세계평화미술대전 특선


스테인드글라스 프로젝트 경력
2016년 방배4동성당 스테인드글라스 「거룩한 변모」
2011년 문화역서울284 스테인드글라스
2010년 연세대학교 인천송도캠퍼스 스테인드글라스
2010년 부산 범일동성당 스테인드글라스
2009년 서울 용산구 후암동성당 스테인드글라스
2008년 미국아틀란타 시온감리교회 스테인드글라스
2007년 양평군 용문 친환경박물관 스테인드글라스
2006년 미국 플로리다 올랜도 중앙침례교회 스테인드글라스
2006년 제주도 신라호텔 카지노 스테인드글라스

※ 이외에도 국내외 100회 이상의 프로젝트에 참여

There was an old, lush forest
I enjoyed drawing trees and water
Touching and passion for color glass and light
And the time of contemplation
I met a lovely flower
I met the disappearing leaves


Between creation and disappearance

  My work takes the form of harmoniously mixing images extracted from past experiences and unfolding them symmetrically like flowers again. And I would like to contain my own thoughts and stories in it. As time passes and the work progresses, the picture will evolve. It can be our story or personal. And it can be the past, present, or future.
Plane work is one way of visualizing my inner world.
The atmosphere of the work seeks to impress and overwhelm. First of all, I want to give the viewer a visual impression. To do so, we pursue the advancement of visual language. It involves curiosity and pleasure, such as exploration. Freedom is given within the screen to transcend physical limitations. Enjoying it would be a special right only for the artist.

  When I was a child, I could see and feel farmland and nature up close in my hometown with a beautiful climate. There was a Buddhist temple built in 577 and a citadel built in 1453. Those two places provided me with a lot from my childhood until I left my hometown. I enjoyed many games and adventures in the architecture and forests of hanok. It is also a good place for landscape painting. There were many good materials for practicing watercolors. For example, old trees and streams, stones in the fortress, hanok buildings painted with dancheong, wooden pillars and tiled beams that make up the construction, and the structures of roof tiles have the traces of time and are very stylish.

  If you look for a clear horizontal area that penetrates my life, it is stained glass. Since my 30s, I have been working hard overcoming difficulties with my own ambition to open up my own art world with stained glasses and light to give.
The process of touching colored glass, seeing it in light, cutting it, and reorganizing it is repeated in order to make a stained glass work. It can be said that the colorful glass pieces interact with light in this process is similar to witnessing the transcendent phenomenon of a sacred object and falling into the mystery. After the stained glass work is completed and installed in the building, the stained glass work with its back to the sky sends the light pouring from the sun into the building only through itself. The energy of the color light shapes it produced is at this time controlling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herefore,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ompletion of stained glass lies in light. There are some secrets hidden here, and it took a lot of time to experience them before I could clearly recognize and handle them well, and it took a lot of exploration and experimentation based on them.

  My return to painting work came from an encounter with a mysterious and charming flower one spring day.
The color, shape, and destiny of flowers make us think about and realize many things. Flowers are the most beautiful times for plants. They gesture to show off such lovely colors and appearances for meeting their mates. Soon after love is achieved, the petals fall and fruits with seeds are formed. The most beautiful period is to end very short and conceive new life. From the moment the seeds are separated from the mother and settled on the ground, they nonstop start the movement of growth. That's how they become another individual.
  Everything in the universe has a fixed time and destiny. It is born, grows, ages, and annihilates. If we look at this more closely and simplify it, we can say that this world is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 three principles of collection, motion, and dispersion work repeatedly - I believe that only these three elements are immutable truths and are 'the major premise' that includes everything in the universe.

  Symmetry, or the repeated shapes of curves and colors, make it possible for a flower to be beautiful. The basic form of symmetry is the shape that everything and every individual in the universe has. It is also an inevitable form in order to exist. In addition, symmetry provides a sense of beauty and stability and makes it perceived as meaningful. It is because we are unconsciously accustomed to the forms of symmetry seen in nature. I have been deeply immersed in the possibilities and mysteries of symmetry shapes while studying stained glasses and light for a long time.
  Looking at the history of stained glasses, I felt that the symmetrical patterns of medieval Europe exuded a majestic impression in a huge and harmonious form. While observing it carefully, I learned that it is similar to Korean dancheong. As a result, I was able to recognize again the dancheong patterns that have been common in my hometown since my childhood. When I started working on the painting again, I decided to find the identity of my painting at that point.

  The first feature of my painting is that it melts the experiences of color glass and light through paint and brush. The second is that I will visualize everything in the world that is related to me, including memories, people, events, philosophy, and religio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For me, working on a work is like a trip or experiment. The work is the crystal and record of the process.

  It is not possible to express all the impressions and full experiences I experienced in the stained glass work of the past in a painting method. It is part of an effort to open up another world through them that are deeply embodied inside. I began my journey to a different level again through more freedom of expression that brushes and paints can give. The evidence (work) left in the process will talk on my behalf. If they are read and understood by people, my lonely journey will be more meaningful.



Ryu_Su

Educational Background
Kangnam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s Bachelor of Arts

Solo Exhibition
2025 Gallery T-in FULL BLOOM
2013 Gwangmyeong CentralLibrary FIND THE NEWNESS OF STAINED GLASS
 
Group Exhibition
2024 Gimpo CICA Museum ABSRACT MIND 2024
2016 New York K&P HANGUEL, ABOUT ITS BEAUTY
2012 Paris L'orme CROISEMENTS
2012 Paris Galerie Iconoclastes KOREA ARTWORK I
2009 Takasaki Museum of Art SIAF 2009

Award winning career
2002 National University Art Exhibition special selection      
2002 World Peace Grand Art Exhibition special selection      

Stained glass project career
2016 Bangbae 4-dong Cathedral. IMPRESSIVE TRANSSFORMATION South Korea
2011 Old Seoul Station, South Korea
2010 Yonsei University, South Korea
2009 Huamdong Cathedral, Seoul, South Korea
2008 Zion United Methodist Church, Atlanta, USA
2006 Central Baptist Church, Orlando, Florida, USA

     Shilla Hotel Casino, Jeju-do,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