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노트

나의 작업은 삶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작품들은 내가 살아오며 겪은 경험들이 기억 속에서 얽히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하며 재생산된 결과물이다. 그렇게 재구성된 기억들은 작업을 통해 삶과 사회, 환경, 감정의 형태로 기록된다.

나는 작업을 통해 일상적이면서도 모순된 풍경을 제시하거나, 내가 속하고 싶은 공간을 창조한다. 때로는 내면의 감정을 여과 없이 드러내기도 한다.
나의 첫 작업은 불안에서 출발했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누구나 느낄 수 있는 생존과 생계의 위협, 트라우마적 기억, 감각의 혼란 등 복합적인 감정들이 작업의 기반이 된다. 특히,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가 현재의 현실과 겹쳐질 때, 내 감정은 극대화되고 심리적 불안 상태에 빠진다. 나는 그 불안을 직면하며 내면의 세계로 침잠하고, 그 과정 속에서 작업이 시작된다.

트라우마는 단순한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현재에도 반복적으로 재현되는 살아 있는 기억이다. 이러한 트라우마적 경험은 언어로 서사화되기보다는 파편화된 감각, 이미지, 감정의 형태로 남는다.

그래서 나에게 있어 예술은, 이 파편화된 기억들을 담아내기에 가장 적절한 매체다.
예술은 억압되거나 잊힌 기억을 감각적인 형태로 가시화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공유의 흔적으로 남게 한다.

내가 경험한 트라우마적 기억은, 어린 시절 거대한 자연 속에서 길을 잃고 홀로 남겨졌던 순간에서 비롯된다.
그때의 자연은 나에게 위협적인 존재였고, 불안을 유발하며 생존을 위협하는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그 속에서 나는 오히려 인공적인 공간, 즉 가족의 울타리와 따뜻한 집을 떠올리며 그 위기의 순간을 버틸 수 있었다.

이후 나는 안정적인 공간에 대한 집착을 갖게 되었고, 나의 물건이나 공간에 붉은색으로 경계와 표식을 남기는 행위를 지속해왔다. 선을 그어 나만의 영역을 구분하고, 물건에 붉은색으로 흔적을 남기는 행위를 통해 안정감을 얻었다.

붉은색은 나에게 위협적인 존재들에 대한 경고의 색이며, 동시에 그 경고 이면에 존재하는 나만의 공간 안에서는 안정을 주는 색이다.
그래서 나는 이 붉은색을 중심으로 나만의 공간을 구축하고, 그 안에서 새로운 안정과 정체성을 만들어 가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Artist Statement
My work tells stories about life.
Each piece is a reconstruction of personal experiences that have been entangled with memory—shaped, transformed, and reproduced through time. These memories become artworks, documenting aspects of life, society, the environment, and emotions.

Through my work, I often present ordinary yet contradictory landscapes, create imagined spaces I long to belong to, or express my inner emotions with raw honesty.
My practice began with anxiety. Like many people living in modern society, I have experienced complex emotions—the fear of survival and livelihood, traumatic memories, and a disoriented sense of self. These feelings often overlap and intensify when my childhood trauma intersects with present realities, leading me into a state of psychological unease. In such moments, I retreat into my inner world, and it is from this space that my work emerges.

Trauma is not simply a past event—it is a living memory, repeatedly reenacted in the present. Traumatic experiences tend to resist narrative structure and instead remain as fragmented sensations, images, and emotions. For this reason, art becomes an especially powerful medium for me to remember and record trauma.
Through art, suppressed or forgotten memories are made visible in sensory form, leaving traces that can be socially and historically shared.
My personal trauma stems from a childhood experience of being lost and left alone in vast nature.

In that moment, nature felt overwhelming, threatening, and life-endangering.
To survive the fear, I clung to thoughts of man-made spaces—a warm home, the safety of my family’s embrace.

Since then, I have developed an obsession with stable spaces. I found comfort in marking my belongings and personal spaces with the color red—drawing lines to define boundaries, leaving red marks on objects to claim them as mine. These acts gave me a sense of psychological security.

For me, red is a warning to external threats, but behind that warning lies a protected space of my own, a space of emotional stability and refuge.
By using red as a foundation, I continue to construct spaces of safety and identity, carrying on this process through my ongoing practice.
Sohee Choi

2005 덕원 예술 고등학교, 졸업.
2011 B.F.A 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
2013 M.F.A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과, 졸업.
2017 홍익대학교 회화과 박사과정, 수료.

개인전
2024 초대전 < 작품으로 삶을 이야기하다 >, 갤러리 엘, 청주
2024 초대전 < 내면의 풍경 >, 베타클럽, 사본
2024 초대전 < 최소희 전 >, 갤러리 브릭샌드, 삼청
2024 초대전 < 최소희 전 >, 갤러리 현, 천안
2023 초대전 , 일원 평생학습센터 갤러리 & 아트뮤제, 서울
2023 초대전 , 광화문살롱 갤러리, 서울
2021 초대전 < 사유의 숲 > 전, GET 201 with 퍼블릭아트갤러리, 광교
2020 초대전  전, EAC 갤러리, 서울
2019 초대전 < 나의 붉은 기억과의 조우 > 전, 아트숨비, 서울
2018 초대전 < ‘어디에도 없는 공간’- utopia  > 전, 퍼블릭 갤러리, 서울
2017 초대전 < 물들다 > 전, 백희 갤러리, 전주
2016 사이아트 도큐먼트 선정 작가 전, 사이아트스페이스, 서울
2014 전, 대안공간 충정각, 서울.
2013 초대전 전, 아트스페이스 이드, 청주.

단체전
2022 < 결계 >, 온라인 전시플렛폼, meum
2022 < 예술하라 >, 충주문화예술회관, 충주
2021 , 세브란스 아트스페이스, 서울
2020 , coex, 서울
2020 , 사진문화공간 아지트 ,서울
2019 , coex, 서울
2019 전, Western Gallery, LA
2019 < 제주 특별자치도 미술대전 >전, 제주문예회관, 제주
2019  전, AK 갤러리, 수원
2019 < 푸른 순간의 지속 > 전, 을지로 아뜨리애갤러리 서울시설공단, 서울
2018 < 문화잇기 + 교감 展 > 전, 노원상계예술마당, 서울
2017 < 同行 > 전, HOMA, 서울
2017  전, 갤러리 오누이, 서울
2017  전, 갤러리O, 서울
2017  전, 최정아 갤러리, 서울
2016“서울 모던 아트쇼“, 예술의 전당 , 서울.
2015“제주, 영 아트페어”, 제주
2015 < 나는 무명작가다 > 전, 아르코 미술관, 서울.
2015 < 열혈 작가 > 전, 갤러리 툰, 춘천.
2015 < 太白八景, 경관 “검은 땅에 꽃 피다” > 전, 철암 탄광역사촌, 태백.
2015  전, 최정아 갤러리, 서울.
2015  전, 청림갤러리, 광명.
2012 안양 광주 작가 교류 국제 행위 예술제, 석수시장, 안양.
2012  전, 홍익대학교 현대 미술관, 서울.
2011  전, 대안공간 도어, 서울
2010 < 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전시회 > 61회, 홍익대학교 현대 미술관, 서울.

경력
2024 교류형 아트페어 art B n B , 서리풀청년아트갤러리 (서초), 관천로문화플랫폼S472 (관악)
2024 청년미술상점, 예술의전당
2024 unbound art fair ,예술의 전당

소장
2024 아트페스타 , setec서울소장
2024 개인소장 <  drawing staged  >
2024 마음담은 정신의학과 병원 <  staged  >
2023 휠링컴 기업 <  staged  >
Education
2005 Graduated from Deokwon Arts High School, Korea
2011 B.F.A. in Painting,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013 M.F.A. in Painting, Graduate School,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017 Completed Doctoral Coursework in Painting,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Solo Exhibitions
2024 Telling Life Through Art, Gallery L, Cheongju (Invited)
2024 Inner Landscape, Beta Club, Sapon (Invited)
2024 Sohee Choi Solo Exhibition, Gallery Bricksand, Samcheong (Invited)
2024 Sohee Choi Solo Exhibition, Gallery Hyun, Cheonan (Invited)
2023 Solo Exhibition, Ilwon Lifelong Learning Center Gallery & ArtMusée, Seoul (Invited)
2023 Solo Exhibition, Gwanghwamun Salon Gallery, Seoul (Invited)
2021 Forest of Contemplation, GET201 with Public Art Gallery, Gwanggyo (Invited)
2020 Solo Exhibition, EAC Gallery, Seoul (Invited)
2019 Encountering My Red Memories, Artsumbi, Seoul (Invited)
2018 Utopia – A Space That Exists Nowhere, Public Gallery, Seoul (Invited)
2017 Saturated, Baekhee Gallery, Jeonju (Invited)
2016 Selected Artist Exhibition, Cyaart Space, Seoul
2014 Group Exhibition, Alternative Space Chungjeonggak, Seoul
2013 Solo Exhibition, Art Space Ede, Cheongju (Invited)

Group Exhibitions
2022 Boundary, Online Exhibition Platform “meum”
2022 Do Art, Chungju Culture and Arts Center, Chungju
2021 Group Exhibition, Severance Art Space, Seoul
2020 Art Show, COEX, Seoul
2020 Photography Culture Space Agit, Seoul
2019 Art Fair, COEX, Seoul
2019 Group Exhibition, Western Gallery, Los Angeles, USA
2019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rt Competition, Jeju Culture & Arts Center
2019 Group Exhibition, AK Gallery, Suwon
2019 Continuity of a Blue Moment, Atrie Gallery (Euljiro), Seoul Facilities Foundation
2018 Cultural Connection + Empathy, Nowon-Sanggye Arts Madang, Seoul
2017 Together, HOMA, Seoul
2017 Group Exhibition, Gallery Onui, Seoul
2017 Group Exhibition, Gallery O, Seoul
2017 Group Exhibition, Choi Jung Ah Gallery, Seoul
2016 Seoul Modern Art Show, Seoul Arts Center
2015 Jeju Young Art Fair, Jeju
2015 I Am a Nameless Artist, Arko Art Center, Seoul
2015 Passionate Artists, Gallery Toon, Chuncheon
2015 Taebaek Eight Views: Blossoming on Black Soil, Coal Mine History Village, Taebaek
2015 Group Exhibition, Choi Jung Ah Gallery, Seoul
2015 Group Exhibition, Cheongrim Gallery, Gwangmyeong
2012 Anyang-Gwangju Artist Exchange Performance Art Festival, Seoksu Market, Anyang
2012 Group Exhibition, Hongik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2011 Group Exhibition, Alternative Space DOOR, Seoul
2010 61st Graduation Exhibition, Department of Painting, Hongik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Projects & Fairs
2024 Art BnB Exchange Art Fair – Seoripul Youth Art Gallery (Seocho), Gwanchun-ro Culture Platform S472 (Gwanak)
2024 Youth Art Store, Seoul Arts Center
2024 Unbound Art Fair, Seoul Arts Center

Collections
2024 Collected by Art Festa at SETEC, Seoul
2024 Private Collection: Drawing – Staged
2024 Maumdamun Psychiatry Hospital: Staged
2023 HealingCom Co., Ltd.: Staged